글씨 21

글씨와 놀다. 매거진 '글씨 21'

서예·캘리그라피

[Preview]

2023-09-22
심은 전정우 추사전 / 10.4 ~ 10.17

서예가 심은 전정우의 개인전이 추사라는 이름으로 104~ 1017일까지 2주간 인사동 마루아트센터 2층 갤러리에서 열린다.

 

KakaoTalk_20230922_105245046.jpg


추사 김정희 선생의 서세(逝世) 167년이 되었지만 한··일 어떤 서예가도 선생의 필력(筆力)과 생전의 작품세계를 이어나갈 작가가 없는 현실 속에서, 더 이상의 추사서를 방치해서는 안 된다는 서예계의 지적이 일고 있는 바서력(書歷) 60여 년 동안 20년 간 추사서를 탐구해온 서예가 전정우 작가를 통해 추사서의 명맥을 이으면서 한국서예의 위상을 높이고, 추사서의 강력한 바람을 국내는 물론, 만방에 서예의 한류바람으로 태동케 하는 동기를 부여하고자 하는 목적의 전시이다.


심은 전정우 작, 불이선란도.jpg

불이선란도 (不二禪蘭圖) 75×135cm


본 전시에 출품되는 작품은 약 50여점,

추사 선생의 대표적인 작품을 이 시대의 미감과 심은 작가의 눈으로 재해석한 작품 들로 누실명, 반야심경, 석노가, 사란기, 산숭해심, 수선화부첩, 대팽두부, 세한도,불이선란, 서간문, 논서만필등 추사 선생의 예서, 해서, 고예, 행서, 초서 등을 탐구한 추사 필의를 원용한 천자문 작품 등 심은 천자문 작품에 추사체의 필획을 혼융한 각종 혼서 천자문 작품들이 총 망라하고 추사 선생의 필력과 창의성을 가미한 심은체에 현 시대성과 미감을 접목시킨 창의적 작품 등이 돋보인다.


심은 전정우 작, 판전.jpg

판전 (板殿75×235cm  


또한 각종 서체를 혼융한(: 농필천자문 등) 심은체 특유의 새로운 서체와 추사체를 승화 접목한 혼융 창작 작품 등은 가히 걸작이라 해도 모자람이 없다.

심은 전정우는 19787, 여초 김응현 선생께 사사를 받던 중 19792월 직장의 전직으로 뜻하지 않게 서예 독학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고, 7년이 지난 1986, 글씨에만 전념하고자 사직하게 되었다.

삼성그룹 회장 비서실에서 사직한 지 1년 만에 동아미술제 미술상과 대한민국미술대전 대상을 수상하고 본격적으로 서예 탐구에만 전념하게 된다.


KakaoTalk_20230922_105249661.jpg


1992년 조선일보미술관에서 개최된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예술의전당, 세종문화회관, 부남미술관, 연세대박물관, 중앙일보-예술의전당 초대전, 인천시 초대전, 인천시-텐진시 공동초대전, 일본됴쿄 초대전과 최근에 개관한 <심은천자문서예관> 개관전 등 총 10회의 개인전을 가졌다.

 

KakaoTalk_20230922_105252535.jpg


작가는 여초 선생의 근면성실, 서법탐구 정신, 불의부패 척결 정신을 본받고, 삼성그룹에서의 다진 창의정신과 도전정신을 체득한 일명 심은정신을 강조하면서 평생 일구월심 서법탐원에만 시간을 쏟고 있는 작가정신이 투철하고 강인한 성격의 이 시대 진정한 작가이자 철인에 가까운 서예가라고 하겠다..


심은 전정우 작, 대팽두부.jpg

대팽두부·고회부처 대련 (大烹豆腐·高會夫妻 對聯) 35×200cm×2


이 같은 투철하고 강인한 작가정신으로 2004년부터 2022년말까지 18년 간 갑골문부터 중국 당대의 대표작가뿐만 아니라 한국의 김생, 한석봉, 추사 김정희 필체 등 129서체로 1,150여 종의 천자문 작품을 완성하기도 하였다.

특히 혼융을 통한 원대한 새로움의 탄생, 결국 130여 서체의 천자문이 이룬 도착점이 바로 농필천자문이다.

 

심은 전정우 작, 초의(草衣)에게.jpg

초의(草衣)에게 72×38cm


혼융서예미의 극치를 보여준 심은 선생은 130여 서체의 천자문을 쓰면서 5천년 서예사를 종주하면서 서체의 다양성과 이질성, 그리고 고전과 현대, 전통성과 실험 정신의 맞부딪침 속에서 심은 고유의 현대 미감으로 새롭게 탄생시킨 작품들을 강화의 <심은천자문서예관>에서 오롯이 보여주고 있다.


심은 전정우 작, 하정상이·진비한예.jpg

하정상이·진비한예 대련 (夏鼎商彛·秦碑漢隷 對聯) 35×200cm


1,150여 종의 천자문 작품을 완성함으로써 세계서예사에 큰 족적을 남긴 업적도 대단하지만, 심은 고유의 미감을 지닌 서체로 승화시켜 탄생케 함은 서예사에 일대 변환과 바람을 일으키게 한 사건으로 기록될 것으로 보인다.

 

심은 전정우 작, 마천십연 독진천호.jpg

마천십연 독진천호 (磨穿十硏 禿盡千毫) 74×49cm


단군 이래 한국 최고의 서성(書聖)으로 불릴 정도의 군계일학의 높은 예술 세계로 평가되는 추사선생의 글씨를 그저 칭찬 일색, 일방적으로 박수를 치는 일에만 앞장서는 데 주저함이 없는 것이 선생의 사후(死後) 167년이 되는 오늘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심은 전정우 작, 실사구시잠.jpg

실사구시잠 (實事求是箴) 74×48cm


심은 전정우 선생은

작가란 자기 예술 세계를 향해 앞으로 전진할 따름이고, 이제 나만의 개성있는 각종 혼융체 등 일명 심은서체가 출현하였는데, 이제 되돌아서 남의 글씨를 좇는다는 것은 예술가로서 절대 허용하지 않는 자존심 때문에서라도 그리할 수는 없다.”고 주장하였으나 진정성 있는 두 분(추사기행의 저자 임병목, 보광사 주지 가산스님)의 간곡한 권유와 설득에 오히려 내가 지고 말았으니, 한국의 서성 추사 선생의 작품을 복원하는 작업은 서예 인생에서 숙명(宿命)이자 운명(運命)으로 알고 받아들였다.“며 그동안 추사서를 공부한 것을 토대로 하여 맨 처음 작업한 것이 추사 선생의 서간 등 세필 행서체를 보고 이에 대한 집중 임서를 통해 선생의 진수(眞髓)를 터득하는 데 3개월을 보냈다고 한다.

 

심은 전정우 작, 시경.jpg

시경 (詩境) 46×76cm


이에 용기를 얻어 각종 서간(편지 글씨), 영백설조(詠百舌鳥), 동파나한송(東坡羅漢頌), 수선화부(水仙花賦), 화리통선(畵理通禪), 백파비(白坡碑), 사란기(寫蘭記), 석각화유마송(石恪畵維摩頌), 만서(漫書), 누실명(陋室銘), 석노가(石砮歌)등 선생의 전성기 때나 인생 만년의 주옥 같은 행서체를 수없이 임서하여, 청초(淸楚)하고도 강건(剛建)한 필획을 터득하는 데 몇 개월의 시간이 지났다.


심은 전정우 작, 세한도.jpg

세한도 (歲寒圖) 140×36cm


그러는 동안에도 반야심경(般若心經), 가정유예첩(家庭遊藝帖), 감어첩(甘於帖), 묵소거사자찬(黙笑居士自讚), 세한도(歲寒圖)발문(跋文), 이위정기(以威亭記)등 해서(楷書) 작품을 통해 추사 선생 해서체의 변화된 과정을 습득하였고

이 결과로 1,800여 자에 이르는 선생의 비문을 행해(行楷) 서체로 일필휘지(一筆揮之) 하게 되었으며 선생의 초상화에 당대의 친구나 제자들이 쓴 800여 자에 이르는 추모시(追慕詩)를 정리하여 단번에 쓰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심은 전정우 작, 묵소거사자찬.jpg

묵소거사자찬 (黙笑居士自讚) 145×39cm


특히 추사서의 백미인 예서(隸書), 특히 고예(古隷) 서체로는 절종명(節從銘), 묵소거사자찬(黙笑居士自讚), 각종 서론(書論)이나 논서(論書), 대복시(大福詩), 다양한 한경문(漢鏡文) 등의 작품을 통해 추사 선생 전·예체(·隸體)의 독특한 필체를 익힘과 함께, 각종 예서 대련(對聯) 작품들을 통해서도 대자서(大字書)의 생동감과 강력한 필획, 그리고 자유자재한 필력과 운필을 통해, 평생 붓과 씨름한 덕분에 재미있고 흥미롭게 작품들을 재구성 한 임서작들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심은 전정우 작, 자련대상.jpg

자련대상 (紫蓮臺上) 70×136cm


이 같은 연구 끝에 5(五體)의 서체로 반야심경작품을 완성하였으며, 특히 5,300여 자에 이르는 금강경을 두 번에 걸쳐서 해행과 행서체로 일수(一手)에 완성하는 쾌거를 맛보기도 하였고 추사 선생의 필의로 천자문을 5체로 또다시 써서, 100여 점의 작품을 7개월 만에 완성하게 되었다.


심은 전정우 작, 계산무진.jpg

계산무진 (谿山無盡) 165.5×62.5cm



추사서를 임서라도 해보려면 최소 60~70대 이상의 서력과 연륜이 있어야 흉내라도 낼 수 있는 글씨가 바로 추사서이다.

예술가에게 도전 없는 창조란 있을 수 없으며, 창의성 없는 자세야말로 어떤 분야의 예술가에게도 금기어(禁忌語)이기에, 하고 싶은 그대로 길을 새롭게 내며 묵묵히 가고자 하는 마음을 다시금 곧추 세워보는 계기가 되었음을 작가는 말하고 있다.


KakaoTalk_20230922_105255566.jpg 

본 전시는 추사 선생의 정신과 실체를 파헤치고, 아류(亞流)가 아닌 또 다른 작가 심은(沁隱)의 개성있는 예술 정신을 추구하면서 추사 작품을 보고 느끼는 감정을 그대로 기록하였으며, 평생 공부한 또 한 명의 작가로서의 안목과 앎을 작품에 그대로 투영, 솔직한 기록으로 남기게 될 흥미로운 전시가 될 것이다.

 

-글씨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