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씨 21

글씨와 놀다. 매거진 '글씨 21'

문인화

[News]

2019-01-21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의 국새가 46만에 한국으로 돌아온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임정의 국새가 한국으로 돌아온다. 임정 임시의정원 의장 및 국무령을 지낸 만오 홍진 선생의 손자며느리인 신창휴씨는 최근 동아일보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홍진 선생의 동상이 국회에 건립되는 날 남편이 보관해 온 임시의정원 관인을 국회에 기증할 것이라고 밝혔다.


大韓民國 三年(1921년) 一月 一日    임시정부급 임시의정원 신년축하식 기념촬영.jpg

大韓民國 三年(1921년) 一月 一日    

임시정부급 임시의정원 신년축하식 기념촬영 / 이미지 출처-네이버이미지 검색


이 관인은 오늘날 국회 격인 임시의정원의 각종 공문서에 찍었던 도장으로 임정 임시헌법 조항으로 볼 때 임정의 정통성을 상징하는 국새 가운데 하나에 해당한다. 손자 며느리인 신씨가 동아일보에 공개한 이 관인은 검은색 목제도장으로 臨時議政院印(임시의정원인)’이라고 새겨졌다.

 

손자 홍석주씨는 할아버지(홍진)1945년 충칭에서 갖고 돌아왔다. 1919년부터 의정원 인장으로 쓰인 임시의정원인이라고 설명한 문서를 남겼다. 그는 각고의 노력 끝에 이 관인을 온전히 간직해 왔으며, 1973년 미국 이민 뒤에도 조부의 업적이 제대로 평가받길 바라며 여러 차례 관인을 한국에 기증하려 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고 201687세로 눈을 감았다. 

 

1919년부터 쓰인 ‘임시의정원印’.jpg

1919년부터 쓰인 '임시의정원印'  / 이미지 출처-동아일보


아내인 신씨에 따르면 남편 홍씨는 이 도장을 목숨처럼 지켰다. 6.25전쟁, 일본유학(교환교수), 미국 이민 등 중요한 일이 있을 때마다 항상 몸에 지니고 다녔다고 한다. “남편이 6.25정쟁 피란 당시 도장주머니를 베개에 돌돌 말아 넣고 잠을 잘 때도 그 베개만 썼다. 가족들에게도 도장이 어디에 있는지 알리지 않았다.”고 전했다.

 

홍석주씨가 가족에게 남긴 도장과 문서 원본에는 영구 가보로 보관할 것, 햇볕과 습기에 쬐이지 말 것이란 당부사항과 설명이 빼곡했다. ‘임시의정원인(臨時議政院印)’이라고 새겨진 가로 5cm, 높이 6cm의 검은색 목재 도장에는 ‘1919년부터의 의정원 인장이라는 설명이 있었다. 홍씨는 이 문서에 임시의정원인은 19194월 임시의정원 수립 때부터 유일한 도장으로 임시정부 및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상징한다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적었다.


캡처cc.JPG

만오 홍진 선생의 손자며느리 신창휴씨

18일 미국 동무 모처에서 동아일보와 채널A에 단독 공개한 임시정부 의정원 관인 등 도장 4개를 손으로 가리키고 있다. / 사진 출처-동아일보


홍진(洪震)’이라고 새겨진 옥돌로 만든 작은 도장에는 관용공문서에 쓰였다는 말도 있었다. 이 외 만오 선생이 19194월 중국으로 망명하기 전 법관과 변호사로 일하며 썼던 그의 본명 홍면희(洪冕熹)가 새겨진 도장, 또 다른 호 만호(晩湖)’가 새겨진 도장도 1점씩 있다.


임시정부 연구의 권위자인 한시준 단국대 교수는 임정에서 행정부 수반(국무령)과 입법부 수반(임시의정원 의장)을 모두 지낸 분은 홍진 선생이 유일하다가장 오랜 기간 의장으로 활동하며 의회정치의 기틀을 닦은 분이라고 설명했다.

 

1943년 중국 충칭에서 열린 재중자유한인대회에서 총주석 자격으로 연설하는 만오 홍진 선생의 모습. 한시준 단국대 교수 제공.jpg

 1943년 중국 충칭에서 열린 재중자유한인대회에서 총주석 자격으로 연설하는 만오 홍진 선생의 모습. 한시준 단국대 교수 제공 / 사진 출처 - 동아일보


1877년 명문가 후예로 태어난 홍진 선생은 1904년 법관양성소를 졸업하고 평양에서 변호사로 일했다. 19193·1운동 직후 동지들을 규합해 인천에서 13도 대표자 대회를 개최하고 한성정부를 조직한 뒤 중국 상하이로 망명했다. 그해 9월 한성정부를 법통으로 통합 임시정부가 출범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

 

19215월에는 이동녕 손정도에 이어 임시의정원의 3대 의장으로 선출됐고 이어 1939, 1942년에도 의장에 선출됐다. 한 교수는 저서에서 홍진 선생이 이념과 당파를 초월한 인물이었기에 좌우익 세력이 참여한 통일의회에서 의장으로 선출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34회임시의정..jpg

34회임시의정 / 이미지 출처 - 네이버 이미지검색


만오 홍진 선생은 임시의정원의 마지막 의장이었고 임정 환국 뒤 의정원을 계승한 비상국민회의 의장으로도 선출됐다. 홍진 선생의 후손이 의정원 관인을 보관하게 된 데에는 이 같은 사연이 있다.

 

홍진 선생이 1945121일 환국하면서 가져온 의정원 문서는 손자 홍석주 씨가 보관하다가 국회에 기증해 1974년 국회도서관이 발간했다. ‘대한민국이라는 국호가 최초로 규정된 대한민국 임시약헌’(헌법) 개정안 초안(원본)과 건국강령, 광복군 작전보고 등 귀중한 자료들이었다. 임시정부 문서는 이들 자료 말고는 거의 남아있지 않다. 의정원 문서를 온전하게 보존해 후대에 남긴 것 역시 홍진 선생의 큰 공헌으로 평가된다.

 

홍진 선생은 194699일 병환으로 숨을 거뒀고 장례식은 913일 김구 선생, 이승만 박사를 비롯해 각계 인사가 운집한 가운데 성대하게 거행됐다.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에서 1923년에 사용한 태극기-이미지출처 네이버 이미지검색.jpg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에서 1923년에 사용한 태극기

/ 이미지 출처 - 네이버 이미지 검색


홍석주씨가 가보로 지켜오던 이 관인은 중국 상하이에서 첫 임시의정원 회의가 열린 지 100주년이 되는 올 4월 10일에 맞춰 기증될 것으로 전망된다문희상 국회의장실은 임정 100주년을 맞는 올해 국회도서관에 임시의정원의 마지막 의장을 지낸 홍진 선생의 흉상을 건립한다며 상징적 의미가 큰 4월 10일 전 관인이 고국에 돌아올 수 있도록 흉상 건립을 서두르고 있다고 밝혔다.


2019. 1. 21

글씨21 편집실